원유 두번째

나의 주관적인 금융 2022. 4. 13. 12:30 posted by HighLighter
반응형

1. 코로나 대유행 시작된 2020년 전체  원유 감산 규모는 하루에 -580만 배럴 내외.
2. OPEC+는 3월 정례회의에서 하루 43.2만 배럴을 5월 부터 증산하기로 합의 함.
3. 러시아에 대한 제재와 자발적인 보이콧 등으로 하루 -700배럴 내외의 원규가 시장에서 사라질 가능성 있음.
4-1.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은 5월부터 6개월간 2억4,000만 배럴을 방출할 예정이다. (24000/180 = 하루 133배럴)
    IEA가 1억2,000만 배럴의 비축유를 추가 방출하고, 미국이 독자적으로 1억2,000만 배럴의 비축유를 시장에 푼다.(미국은 내수용)

4-2. 한국은 총 비축유 9700만 배럴의 4.5% 수준인 442만 배럴 유통 예정임

(90일치 이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수급 위기 발생 시에도 대응 가능)

5. 미국은 현재 5억6,800만 배럴의 비축유를 확보하고 있다.

6. 미국은 2019년 기준 전략비축유는 하루 2천54만 배럴에서 28일, 한국은 하루 260만 배럴에서 218일 동안 사용가능한 비축유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7. 전 세계에서 하루 소비되는 석유는 9천700만 배럴 정도이며, 미국이 그 가운데 2천만 배럴 내외 사용한다고 한다.

8. 미국은 2021년 11월 10년 만에 5,000만 배럴의 비축유 방출을 결정한 데 이어 2022년 3월 1일 추가로 3,000만 배럴의 비축유 방출 계획을 내놨지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 했다. 총 8,000만 배럴.

2021년 11월 비축유 방출 후 2주 정도 떨어졌으나 다시 상승했었다.    
= -580 + 43 + 133 -300 = -704

Exit 코로나 이후 하루 700만 배럴 이상 부족

하루 100만 배럴은 전 세계 일간 원유 생산량의 1%, 미국 하루 수요의 약 5% 에 해당.

-----------------------------------------------------------------------------------------------------------------------------

중국 도시 봉쇄로 석유 수요 하루 120~130만 배럴 감소 예상

글로벌 자원정보기업 우드 매켄지는 코로나 19 확산, 도시 봉쇄에 따른 휘발유, 항공유 수요 감소분이 3월 하루 75만 배럴에 이어 4월에도 하루 60만 배럴에 이를 것이며, 5월까지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대도시 100곳 87곳이 코로나 방역으로 인한 이동, 경제활동 제한조치를 시행 중이라고 한다.

-----------------------------------------------------------------------------------------------------------------------------

공급처를 찾지 못한 러시아 에너지 업계는 원유 생산을 줄이기 시작했다.
IEA에 따르면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5월 부터 하루 -300만 배럴 가까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러시아가 2월 우크라이나 침공하기 전가지 수출해온 하루 평균 원유량은 800만 배럴 내외이다. 이중 절반인 400만 배럴 가까이가 유럽으로, 20%는 중국으로 공급돼 왔다.)

우크라이나 침공 전 1,100만 배럴을 웃돌았던 러시아의 1일 원유 생산량이 1/4 이상 감소하는 것이라고 한다.

WSJ은 디젤과 가솔린 등을 생산하는 러시아의 정유업계가 지난주 들어 생산량을 하루에 170만 배럴씩 줄였다고 전했다. 매년 봄철이 되면 생산라인 점검을 위해 생산량을 줄이지만, 예년에 비해 감소량이 70%나 늘어난 수치다.

러시아 에너지 업계는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러시아산 에너지 대체 움직임이 본격화하자 디젤과 가솔린 등 최종 생산물을 보관할 저장고가 부족해졌다. 이에 마땅한 공급처를 찾지 못하고 원유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게 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 다음 달부터 하루에 300만 배럴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우크라이나 침공 전 러시아의 1일 원유 생산량이 1100만 배럴을 넘겼다는 점을 감안하면 25% 이상 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이다.

이같은 흐름은 에너지 산업이 러시아의 기간산업이자 돈줄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러시아에 실질적인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러시아 정부예산의 45%가 원유와 천연가스 판매로 충당됐고, 3월만 하더라도 원유 수출로 벌어들인 총액이 121억 달러(한화 약 14조8000억원)에 달했다.

일각에선 러시아산 원유 제재 이외에도 기술과 부품 금수 조치가 더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원유 채굴과 운반, 정유 등 시설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 중 간단한 부품은 러시아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중국제 수입이 가능하지만, 정유 과정에서 필요한 촉매제를 비롯해 센서 등 복잡한 부품은 대부분 미국과 유럽에 의존하고 있다.

--------------------------------------------------------------------------------------------------------------------------------

세계 최대 석유상인 네덜란드의 '비톨 그룹'이 늦어도 올해 말까지는 러시아산 원유 및 석유 제품 거래를 중단할 것으로 알려졌다.

4월 13일(이하 현지시각) 미 방송매체 CNN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비톨 그룹은 러시아와 어떤 원유 및 제품 거래도 새로 체결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선언했다. 이 밖에 셸, 토탈 등 주요 기업들도 일제히 러시아산 원유 매입을 중단했거나 연말까지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러시아산 원유를 외면하는 가운데 러시아는 자국 원유를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등 '자원의 무기화'에 나섰다. 실제로 러시아산 우랄 원유는 북해산 브렌트유보다 배럴당 34달러(약 4만1000원) 더 저렴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이날 발표에 따르면 이번달 러시아산 원유 공급량은 일일 기준 약 150만 배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IEA는 "전통적인 (러시아산 원유 구매)고객들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줄이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중국으로의 (러시아산 원유의)물동량이 증가했다는 징후도 없다"고 덧붙였다. 

비톨 그룹은 지난해 하루 평균 760만 배럴의 원유를 거래했다. 이는 IEA가 추산한 러시아의 지난해 하루 원유 수출량인 470만 배럴을 크게 웃도는 물량이다.
-----------------------------------------------------------------------------------------------------------------------------

WJS은 프랑스 대선 결선투표가 열리는 4월 24일까지 논의에 큰 진전이 없을 것으로 예상함

-----------------------------------------------------------------------------------------------------------------------------

러시아산 원유에 현재 부과된 금수 조치를 비롯해 추가될 수 있는 각종 제재 등을 감안한다면 국제 원유 시장에서 하루 700만 배럴 이상의 생산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4월 8일 EU는 러시아산 석탄 수입을 금지하는 첫 번째 에너지 제재를 발표했다. 2022년 8월 부터 적용되며 제재 규모는 금액으로 연 10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

러시아가 유예기간이 끝나는 5월4일까지 지급 화폐를 달러화로 바꾸지 않는다면 "무디스의 규정상 디폴트로 간주할 수 있다"고 무디스는 밝혔다.

이로써 지난달 한 차례 디폴트 위기를 모면한 러시아는 내달 초 다시 한번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무디스의 언급은 또 다른 메이저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러시아의 외화표시 채권 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를 의미하는 SD등급으로 강등한 지 닷새 만에 나왔다.

-----------------------------------------------------------------------------------------------------------------------------

*과거 석유위기의 경제파급효과

구분 1차 석유위기 2차 석유위기 2000년대
시기 ‘74~’75 ‘79~’82 ‘07~’08
발생원인 4차 중동전쟁 이란 이슬람혁명 신흥국 석유수요 급증, 국제 투기 자본
국제유가 단기급등 후 안정세 단기급등 후 안정세 수요증가에 따라 점진적 상승, 고유가시기 장기화
국내 파급효과 물량확보에 에로 중화학공업에 큰 영향 장기적 영향
경제성장율 12%(‘73) 6.6%(‘75) 6.8%(‘79) 1.5%(‘80) 5.1%(‘07) 2.3%(‘08)
소비자
물가상승률
3.2%(‘73) 24.3%(‘75) 18.3%(‘79) 28.7%(‘8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