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R: 주가수익률, 주가(Price)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비율(Ratio), PER가 3이라는 것은 주가가 순이익의 3배로 거래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비율이 낮을 수록 주가가 저렴하다고 한다.
- 저PER주 투자전략에 주의할 점이 있다. 저PER주 투자는 경기변동주에 적용할 때는 거꾸로 해야 한다. 예컨데, SK하이닉스처럼 반도체 사이클에 따라 이익이 변동하는 경기변동주인 경우는 고PER에 사서 저PER에 팔아야 한다. 또 성장주인 경우도 성장 초기인 고PER주에 사서 성장이 끝나는 저PER일 때 팔아야 한다. 예컨데, SK텔레콤을 들 수 있다.
2. PBR: 주가순자산배율, 주가를 주당장부가격(Book Value)으로 나눈 비율, PBR이 3이라면 이는 주가가 장부가격의 3배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 비율이 낮을 수록 주가는 저렴하다고 한다.
=>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어느날 시장 가격은 반드시 제 가치에 수렴할 것이다.
3. 켈리 공식 : 주식 투자할 때 켈리 공식을 활용하면 투자 비중을 정할 때 도움이 된다.
F = P - (1-P)/R
(F: 투자비중, P: 이길 확률, R=손익비=예상이익/예상손실)
P는 이길 확률인데 주가 상승할 확률은 60%다. R은 손익비인데 여기서는 예상 이익/예상 손실 = 100/100 = 1 이다.
F(투자비중) = P-(1-P)/R
= 60%-(100%-60%)(100/100)
= 20%
적절한 투자 비중은 20% 이다.
'나의 주관적인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6월 CPI(소비자물가지수) 9.1%, 20년 이래 최대 폭 (0) | 2022.07.14 |
---|---|
한국은행 기준금리, 22년 8월, 2.5% (0) | 2022.07.13 |
아빠카드, KB국민 탄탄대로 온리유카드 (0) | 2022.06.23 |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 (0) | 2022.06.23 |
여러가지 잡다한, 파레토의 법칙, 저축 골드 타임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