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도 8월 1일에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 개발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Java 혹은 C++ 같은 객체지향 언어이다. 상속이라는 개념이 있고, 오버라이딩, 오버로딩이라는 개념도 있다. 인스턴스 변수, 지역변수도 있다. 그리고 생성자와 같은 read() 매소드라는 개념도 있다. 어쨌든 객체 지향 언어 개발자로 3년 10개월을 일했다.
일을 하면서 개발자로만 일한 것도 아니다. 해당 회사 언어가 한국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아 회사에서 짤리면 갈 곳이 없을 것 같아 Oracle Database Server 공부를 시작했다. 여러 권의 서적을 구입하고 그 중 몇 권을 읽고 SQLD, OCP-10g DBA 같은 자격증도 취득하였다. SQLD가 OCP-10g DBA 보다 어렵다. 왜냐??? 덤프가 없기 때문이다. OCP-10g는 덤프만 보고 땄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 전에 공부도 많이 했고 Production 운영도 해 보았기 때문이다. Backup & Recovery 관련 책 2권 정도 사서 실습도 해 보았고, 오라클 성능 고도화 원리 I, II를 비롯해 몇 권의 책을 보았다. Database 관련 지식들은 개인적으로 공부한 것들이다.
업무 관련 되서는 생명보험협회에서 주관하는 CKLU도 취득하였다.
그러다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느낌을 받아 어느 해외증권사에 가서 3개월 간 일하다가 한국에 다시 들어 왔다. 그 곳에서 그 동안 혼자 공부한 SQL을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PRO*C 도 배웠다.
이제는 JAVA를 공부해야 할 때가 왔다. 8년 전 대학교 2학년 때 자바를 약간 공부해 보고 다시 시작하고 있다. 현재 8년 전 책을 다시 펼쳐 보고 있다. 그 때는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잘 안갔는데, 소위 말하는 Field에서 약간 굴러 먹다가 보니까 그나마 이해가 간다.
외부 학원에서 Language 관련 교육을 받아 본 적은 없지만 요즘 책들이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혼자 공부하기에 무리가 없는 것 같다. 물론, Database 같이 어려운 것은 사전지식이 없으면 혼자 공부하기에 무리가 있다.
앞으로 어떻게 살지는 모르겠지만 아래의 것들을 천천히 접해 보아야 할 것 같다.
Database: MySQL, MS-SQL (Oracle Database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
Language: Java, JSP, Html, Xml, ASP, CSS
Framework: Spring, iBatis, JSTL, Struts, Struts2
기타: AJAX, JQUERY, Hibernate, Miplatform
나중에 쉰살 아니 예순이 넘어서 불러 주는 곳이 없으면 인터넷쇼핑몰과 같은 웹서비스를 구축해서 사업을 해보고 싶다.
'개발 및 관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nt (0) | 2013.01.23 |
---|---|
Graphics (0) | 2013.01.23 |
Exception에 관련된 규칙 (0) | 2013.01.22 |
Exception (0) | 2013.01.22 |
MathFun.java - parseInt, substring, relpalce (nullChar를 ""으로 바꿈 ) (0) | 2013.01.22 |